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농사는 안되는데 물가는 계속 오르는 상황 때문에 경제적으로 힘든 농업인 분들이 많을 텐데요.

    정부에서 지원하는 공익직불금을 신청하면 최소 130만 원 이상 받을 수 있습니다. 

    지금부터 2025 공익직불금 신청 자격부터 방법, 필요한 서류, 기간, 받을 수 있는 금액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 공익직불금 신청자격 

    신청자격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
    농업인 자격

    • 농업경영체로 등록
    • 0.1헥타르(약 1,000㎡) 이상의 농지에서 경작
    • 신청 연도 직전 3년 중 최소 1년은 농업에 종사
    • 전년도 농업 외 소득이 3,700만 원 미만

    농지 자격

    • 과거에 쌀, 밭, 조건불리직불금 대상이었던 농지로, 현재도 농업에 사용

    * 제외 : 하천구역에 있는 농지, 농지전용 허가를 받은 땅, 지목이 임야인 토지

    소농직불금만

    소농직불금을 받으려면 아래 5가지 조건을 추가로 더 만족해야 합니다.

    • 농가 내 지급 대상 농지의 총면적이 0.5헥타르 이하
    • 농가 구성원의 농지 소유 총합이 1.55헥타르 미만
    • 모든 지급대상 농업인이 3년 이상 농업에 종사
    • 농가 구성원들이 3년 이상 농촌에 거주
    • 개별 농업인의 논업 외 소득이 2,000만 원 미만, 농가 전체 구성원 농업 외 소득 합이 4,500만 원 미만

    신청방법 살펴보기

    신청은 온라인 신청 대상자 외에는 방문해서 신청해야 합니다.

    온라인 신청 대상자

    • 조건

    스마트폰을 통해 신청안내 문자를 받을 사람

    • 방법

    1334로 전화하거나 신청안내 문자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  방문 신청 대상자

    • 조건

    신청안내 문자를 받지 못한 사람

    • 방법

    관할지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해서 신청하면 됩니다.

    신청서류 알아보기

    신규 신청 시 서류가 필요합니다.

    필요한 서류 비고
    기본직불금 등록신청서 동사무소에서 받을 수 있음
    임대차 계약서 또는 경작사실 확인서 임대차 계약서 : 빌린땅인 경우 

    경작확인서  :농지소재지 이장 및
    마을 농업인 2인 이상으로 확인 받은 확인서
    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 증명서 소농직불금 신청 시
   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공익직불금 정보와 일치해야함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대상자별 신청기간

    온라인 신청

    2월 1일 ~ 2월 28일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  * 기간 내에 신청하지 못했다면 방문 신청 기간내에 방문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  방문 신청

    3월 4일 ~ 4월 30일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  받을 수 있는 금액 계산하기

    각자 받을 수 있는 공익직불금 금액이 다른데요.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이 궁금한 분들은 아래 버튼을 누르면 금액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지금까지 나라에서 농업인에게 최소 130만 원 이상 지원하는 공익직불금 신청 자격, 방법, 기간, 서류, 금액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 신청 대상자라도 신청하지 않으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으니, 반드시 기간 내에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