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오늘은 노후 준비를 위해 연금저축계좌등 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있는 분들에게 최대 연 50만 원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는 irp계좌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. irp계좌 개설 시 필요한 서류뿐만 아니라 만드는 방법, 특징 및 활용법까지 소개해보겠습니다.

1. irp계좌 개설 시 필요한 서류
irp계좌 개설은 비대면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3가지 서류만 준비하면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가능합니다.



필요한 3가지 서류
- 본인명의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
- 주민등록증 또는 (모바일) 운전면허증
- 온라인에서 조회 가능한 금융계좌



* 직접 방문해서 개설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온라인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오프라인 지점을 직접 방문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.



서류를 준비하기 전 내가 irp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조건이 되는지 확인하는 걸 추천드립니다.
irp계좌 개설 조건
- 소득이 있는 직장인 또는 자영업자



2. irp계좌 만드는 방법
irp계좌 개설 조건과 필요한 서류를 확인했다면 어떻게 만드는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 irp계좌 개설은 은행, 보험사, 증권사 등 어느 곳에서나 개설이 가능합니다. 나의 주거래은행이나 증권사 또는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는 금융사 중 비교해 보고 선택하시면 됩니다



*TIP. irp계좌 개설 시 운용관리 수수료와 자산관리 수수료가 낮거나, 무료 이벤트를 진행하는 금융사를 찾아서 가입하는 걸 추천드립니다.
▼ 은행별 수수료 비교하러 가기 ▼

▼ 증권사 수수료 비교하러 가기▼

3. irp계좌 특징 및 활용법
연금저축과 irp계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특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.
연금 저축계좌 | irp계좌 | |
- 레버리지, 인버스 ETF 제외한 거의 모든 국내상장 ETF 투자가능 |
- 전체 70%까지만 주식형 ETF, 펀드, 리츠등에 투자가능 - 30%는 예적금, 단기채권등에만 투자가능 - 세액공제 13.2~16.5% 받을 수 있음 - 최소 10년 이상, 만 55세 이상까지 보유해야함 (조건 만족 시 연금소득세 3.3~55% 내고 수령) (중도 해지 시 기타소득세 16.5% 내고 수령) - 연간 1,800만원 납입가능 |
irp계좌는 세액공제가 된다는 특징 때문에 활용하기 좋습니다. 연금저축과 irp계좌 납입금액은 합쳐서 연간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만약 최대로 irp계좌를 활용한다면 연금저축 400만 원+irp계좌 300만 원 납입을 추천드립니다. 세액공제란 세금을 면제해 준다는 의미로, irp계좌의 세액공제율이 13.2~16.5%이기 때문에 1년 동안 300만 원을 irp계좌에 넣게 되면 세금을 최대 약 50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


지금까지 irp계좌 개설 시 필요한 서류와 irp계좌 만드는 방법, 특징 및 활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 irp계좌를 최대한 활용해서 노후를 대비하시길 바랍니다.
리츠 뜻부터 종류, 장단점까지 한번에 알아보기
부동산을 투자하려면 주식에 비해 큰 금액이 필요하다는 점과 유동성이 낮아서 원할 때 사고팔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 하지만 리츠를 이용하게 되면 2가지 단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기 때
jopposongpposing9672.com
금투자 가장 안전한 방법 알아보기
주식, 부동산뿐만 아니라 금 투자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. 그런 분들에게 금투자 가장 안전한 방법 5가지와 각 장단점을 비교하고, 금투자가 주식, 부동산에 비해 어떤 장점
jopposongpposing9672.com
금투세 뜻, 도입 목적, 과세대상 및 세율 총 정리
주식, 채권, 파생상품에 투자하고 있거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들은 금투세에 대해서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. 금투세가 뭔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서 오늘은 금투세 뜻, 도입 목적, 도입 시
jopposongpposing9672.com
'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TX SRT 다자녀 할인 혜택, 받는 방법, 주의사항까지 총정리 (0) | 2024.09.26 |
---|---|
정부 24 모바일 신분증 하나만 있으면 해결됩니다. (0) | 2024.09.23 |
비대면 진료 방법부터 어플 추천, 장단점까지 한번에 알아보기 (0) | 2024.09.17 |
노란우산공제 해지 방법 및 조건, 가입철회방법까지 총 정리 (0) | 2024.09.16 |
KBS TV 수신료 해지 방법, 환불받는 방법, 그 외 궁금증 정리하기 (4) | 2024.09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