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생계급여 금액은 가구별 소득 인정액에 따라 다릅니다. 내가 받을 수 있는 생계급여가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.
2025년 생계급여 금액 계산하기
- 생계 급여액 =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32% - 소득인정액
예시 : 소득 인정액이 30만원인 1인 가구의 경우 76만 5,444(생계급여 지급기준)-30만원(소득인정액) = 465,444
달라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 알아보기
가구원 수 | 1인 | 2인 | 3인 | 4인 | 5인 | 6인 |
생계급여 (중위 32%) |
76만 5,444 | 125만 8,451 | 160만 8,113 | 195만 1,287 | 227만 4,621 | 258만 738 |
내 소득 인정액 계산하기
- 소득 인정액 = 소득평가액 + 재산 소득환산액
소득평가액 = {0.7X(근로소득-108만원)} + 기타소득
재산 소득환산액 = [{일반재산-기본재산액1 + (금융재산 - 2,000만원) - 부채} X 0.04(재산의 소득환산유르 연 4%) / 12개월] + 고급자동차 및 회원권의 가액
계산이 복잡하기 때문에 아래 '국민기초생활보장'에 들어가서 계산기로 알아보는 걸 추천드립니다.
지금까지 2025년에 받을 수 있는 생계급여액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 위에서 알려드린 계산식을 이용해서 직접 계산해도 되지만 온라인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조회하고 싶은 분들은 복지로에서 만든 생계급여 계산기를 사용하면 됩니다.
반응형
'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금 더 내기 싫으면 부가세 계산 제대로 하세요. (0) | 2025.01.19 |
---|---|
2025년 인상된 생계급여,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 계산하기 (0) | 2025.01.16 |
2025년 내가 받을 수 있는 기초연금 금액 1분만에 조회하기 (0) | 2025.01.12 |
1월 27일 임시공휴일에 받을 수 있는 휴일근로수당 계산하기 (0) | 2025.01.09 |
10월 1일 임시공휴일에 일하면 받는 근로수당은? (0) | 2024.09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