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기준 중위 소득이 인상되면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증가했습니다. 내 기초생계급여액 계산 방법과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기초생계급여액 계산하기
생계급여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.
- 생계 급여액=(가구별 기준 중위소득×0.32)−소득인정액
예를 들어, 소득 인정액이 50만 원인 2인 가구의 경우:
생계 급여액=125만8,451−50만=758,451 원
2025년 기준 중위소득 32% 확인하기
2025년 기준 중위소득 32% | |
1인 가구 | 76만 5,444 원 |
2인 가구 | 125만 8,451 원 |
3인 가구 | 160만 8,113 원 |
4인 가구 | 195만 1,287 원 |
5인 가구 | 227만 4,621 원 |
6인 가구 | 258만 738 원 |
위의 표를 참고하여 자신의 소득 인정액을 뺀 후 생계급여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생계급여 신청하기
생계급여액을 계산한 후, 신청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. 생계급여 신청은 오직 방문 신청만 가능합니다.
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주민센터 찾는 방법
1. 마이홈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2. '주거복지기관찾기'를 클릭합니다.
3. '행복복지센터'를 선택합니다.
4. 지역을 선택한 후 검색 버튼을 눌러줍니다.
필요한 서류 확인하기
생계급여 신청에 필요한 서류는 대상자에 따라 다릅니다.
필요한 서류를 확인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
지금까지 2025년에 받을 수 있는 생계급여액 계산과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반응형
'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금 더 내기 싫으면 부가세 계산 제대로 하세요. (0) | 2025.01.19 |
---|---|
내가 받을 수 있는 생계급여 금액 계산하기 (0) | 2025.01.16 |
2025년 내가 받을 수 있는 기초연금 금액 1분만에 조회하기 (0) | 2025.01.12 |
1월 27일 임시공휴일에 받을 수 있는 휴일근로수당 계산하기 (0) | 2025.01.09 |
10월 1일 임시공휴일에 일하면 받는 근로수당은? (0) | 2024.09.12 |